한국ESG기준원은 높은 투명성과 전문성을 토대로 2003년부터 기업지배구조 평가를 실시해왔으며, 2011년부터는 사회책임과 환경경영이 포함된 ESG 평가를 통해 매년 국내 상장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하고 있습니다.
년도 | 종합 등급 | 환경 | 사회 | 지배구조 |
---|---|---|---|---|
2024 | B+ | B+ | A | B+ |
2023 | A | A | A | B+ |
2022 | B | C | B+ | B |
2021 | B+ | B | B+ | B+ |
2020 | B+ | B | B+ | B+ |
서스틴베스트는 국내 기업의 ESG 리스크 관리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. 서스틴베스트의 ESGValue™ 평가 모형은 투자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 활동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,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기업의 장기적 가치와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분석하며,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ESG 리스크 및 기회 관리 성과를 평가합니다.
좌우로 스크롤 하시면
내용이 보입니다.
년도 | 종합등급(총점) | 환경 | 사회 | 지배구조 |
---|---|---|---|---|
2024년 하반기 | AA(99.5) | 75.50 | 85.75 | 57.17 |
2024년 상반기 | AA(98.4) | 70.1 | 66.5 | 57.1 |
2023년 하반기 | AA(97.4) | 44.8 | 60.3 | 61.6 |
2023년 상반기 | AA(99.5) | 31.6 | 64.0 | 63.2 |
* 서스틴베스트 평가 등급구간: AA, A, BB, B, C, D, E 등급으로 나뉘며, 각 평가 분야별 가중치가 상이함.
EcoVadis는 전 세계 공급망에서 지속가능성 감시를 위한 선도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, 이미 5만 개 이상의 기업이 4가지 주요 주제(환경, 노동 및 인권, 윤리, 지속가능성 조달)에 기초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. EcoVadis 는 국제 지속가능성 표준(Global Reporting Initiative,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, ISO 26000)을 기반으로 하며, CSR 및 공급망 전문가들로 구성된 과학 위원회의 주도 아래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CSR 평가를 보장합니다.
평가년도 | 평가등급 | 환경 | 노동인권 | 윤리경영 | 지속가능한 공급망관리 |
---|---|---|---|---|---|
2024 | 플래티넘등급 | 80점 | 80점 | 90점 | 90점 |
2023 | 골드등급 | 70점 | 70점 | 70점 | 70점 |
2022 | 골드등급 | 70점 | 70점 | 70점 | 60점 |
2021 | 실버등급 | 60점 | 60점 | 60점 | 50점 |
NQC SUPPLIERASSURANCE 은 글로벌 완성차 지속 가능성 지침 원칙에 부합하며 인권 및 환경 지속 가능성, 건강 및 안전 분야의 정책과 관행을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Drive Sustainability(글로벌 완성차 지속가능성 연합)에 가입한 BMW 그룹, 다임러 트럭, 포드, 혼다, 재규어 랜드로버, 메르세데스-벤츠, 스카니아, 토요타, 폭스바겐 그룹, 볼보 그룹 등의글로벌 OEM 부터 원자재, 제조, 물류, 조립 그리고 소매를 포함한 모든 자동차 공급망의 지속 가능성 성과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평가년도 | 총점 | 지배구조 | 인권노동 | 안전보건 | 기업윤리 | 환경 | 책임있는 공급망관리 |
책임있는 원자재관리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24 | 79점 | 89점 | 34점 | 96점 | 93점 | 83점 | 73점 | 100점 |